조각가에서 건축가로 – 크리스토와 도날드 저드의 공간 실험

건축은 단지 기술자의 영역이 아닙니다. 오히려 공간을 다루는 모든 예술가의 언어이자 무대입니다. 그 중에서도 조각가들은 공간과 형태에 대한 민감한 감각을 바탕으로, 건축이라는 새로운 실험의 장으로 발을 내디뎌 왔습니다.

시각예술의 경계를 넘어 건축적 실험으로 공간을 재해석한 두 위대한 예술가, 크리스토와 도날드 저드의 혁신적 여정을 탐구합니다. 이들의 작업은 전통적 건축 개념에 도전하며 공간과 형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특히 두 명의 시각예술가 - 크리스토(Christo)와 도날드 저드(Donald Judd) - 를 중심으로 그들의 건축적 상상력과 공간 실험을 살펴봅니다. 이들은 전통적인 의미의 ‘건축가’는 아니었지만, 공간을 조형하는 방식과 철학에 있어서 많은 건축가보다도 더 깊은 사유를 보여주었습니다.





크리스토 자바체프 -  공간을 감싸고 사라지는 건축

크리스토 자바체프(Christo Javacheff, 1935-2020)는 1960년대부터 대규모 환경 설치미술을 통해 건축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어온 혁신적인 예술가입니다. 불가리아 출신의 크리스토는 그의 아내이자 협업자인 잔-클로드(Jeanne-Claude)와 함께 세계 각지의 건물, 기념물, 자연 경관을 천으로 감싸는 '래핑(wrapping)'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베를린 국회의사당 래핑(Wrapped Reichstag, 1995)

크리스토의 작업은 건축물을 일시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일상적 공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완전히 바꿔놓습니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베를린 국회의사당 래핑(Wrapped Reichstag, 1995)'은 역사적 건축물을 은빛 천으로 감싸 정치적 상징성을 가진 공간을 예술적 오브제로 전환시켰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24년간의 준비 기간 끝에 단 2주간만 전시되었지만, 현대 건축과 예술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탈친숙화(defamiliarization)' 효과

크리스토의 작업은 영구적인 건축물이 아닌 일시적 개입을 통해 건축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그의 '래핑' 기법은 건물의 물리적 형태는 그대로 두면서도 외관을 완전히 변형시켜, 익숙한 공간을 낯설게 만드는 '탈친숙화(defamiliarization)' 효과를 창출합니다. 이를 통해 관람자는 평소에는 무심코 지나치던 건축물과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게 됩니다.



크리스토의 공간 개념과 건축적 실험

공간의 재해석

크리스토는 기존 건축물을 천으로 감싸는 과정을 통해 공간의 본질을 재해석합니다. 그의 작업은 건축물의 물리적 실체를 가리면서 동시에 그 형태를 더욱 강조하는 역설적 효과를 창출합니다. 이러한 시각적 변형은 관람자로 하여금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건축물의 형태와 비율, 규모를 새롭게 인식하게 만듭니다.

시간성과 일시성

크리스토의 모든 건축적 개입은 일시적입니다. '폰트 네프 브릿지 래핑(Wrapped Pont Neuf, 1985)'이나 '베를린 국회의사당 래핑'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도 수년의 준비 끝에 단 몇 주간만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일시성은 건축의 영구성과 대비되며, 공간 경험의 희소성과 특별함을 강조합니다. 크리스토는 "영원히 지속되는 예술작품은 없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모든 작업의 한시성을 통해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는 공간 경험을 창출합니다.

관객 참여와 경험

크리스토의 작업은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넘어서 관객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합니다. 그의 대규모 환경 설치는 관람자가 직접 걷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게이츠(The Gates, 2005)'나 '부유하는 부두(The Floating Piers, 2016)' 같은 프로젝트는 관람자가 작품 속으로 직접 들어가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건축이 단순한 시각적 오브제가 아닌 체험의 장이 되어야 한다는 현대 건축 이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크리스토의 이러한 공간 실험은 건축가들에게 공간 인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작업은 건축물이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이 아니라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이 담긴 예술적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건물 감싸기' 프로젝트들은 기존 건축물의 역사와 맥락을 존중하면서도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창출하는 방법론으로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날드 저드 -  미니멀리즘에서 건축으로

도날드 저드(Donald Judd, 1928-1994)는 미국의 미니멀리스트 예술가로 시작하여 건축의 영역으로 그 실천을 확장한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회화에서 출발한 저드는 점차 평면 작업의 한계를 넘어 3차원적 공간으로 작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그의 초기 작품은 단순한 형태와 산업적 재료를 사용한 '특수한 사물(Specific Objects)'로, 미니멀리즘 예술의 핵심 원칙을 확립했습니다.

회화에서 시작

저드는 초기에 추상 표현주의 화가로 활동했으나, 점차 평면 회화의 한계를 느끼게 됩니다. 그는 캔버스의 환영적 공간이 아닌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작품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3차원 작업으로 전환

1960년대에 저드는 벽에 부착되거나 바닥에 놓이는 단순한 형태의 직육면체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작품들은 산업 재료와 공장 제작 방식을 통해 작가의 주관적 표현을 최소화했습니다.

건축적 실천으로 확장

저드는 1968년 뉴욕 소호의 주철 건물(101 Spring Street)을 구입하여 자신의 미니멀리즘 원칙에 따라 개조했습니다. 이 건물은 그의 조각적 접근법이 건축 공간으로 확장된 대표적 사례입니다.

마르파 프로젝트

텍사스 마르파에서 진행한 대규모 프로젝트는 저드의 건축적 사고가 극대화된 공간입니다. 그는 여기서 건물, 가구, 조각이 통합된 총체적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저드에게 있어 공간은 단순히 작품을 전시하는 중립적 배경이 아니라 작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적극적 요소였습니다. 그는 공간의 비례, 크기, 재료, 빛의 상호작용을 세심하게 고려하여 관람자의 지각 경험을 총체적으로 디자인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현대 건축에서 공간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날드저드의 공간 이론과 건축적 실천

특수한 사물(Specific Objects)

1964년 발표된 이 에세이에서 저드는 평면 회화의 한계를 넘어 실제 공간을 점유하는 3차원 오브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회화도 조각도 아닌" 새로운 형태의 예술 작품을 주장하며, 공간과 물질성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했습니다.

공간 점유와 경험

저드에게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작품의 본질적 요소였습니다. 그의 작품은 전시 공간의 건축적 특성(바닥, 벽, 천장)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으며, 관람자가 작품 주변을 움직이며 경험하는 시간적 차원까지 고려했습니다.

재료와 제작 방식

저드는 산업적 재료와 전문 제작자를 통한 정밀한 제작 과정을 중시했습니다. 이는 건축에서의 재료 선택과 시공 과정에 대한 그의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건축물 역시 하나의 조각 작품처럼 완벽한 비례와 디테일을 갖추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저드의 공간 이론은 다음과 같은 핵심 원칙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 전체성(Wholeness): 공간은 분절되지 않은 전체로 인식되어야 함
  • 명료성(Clarity): 공간의 구조와 요소는 명확하게 드러나야 함
  • 직접성(Directness): 불필요한 장식 없이 재료와 형태의 본질을 드러내야 함
  • 비위계성(Non-hierarchy): 공간 내 모든 요소는 동등한 중요성을 가짐
  • 질서(Order): 무작위성이 아닌 분명한 논리와 체계를 따라야 함

이러한 원칙들은 저드의 건축 작업에서 일관되게 적용되며, 현대 미니멀리스트 건축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도날드 저드의 101 스프링 스트리트 -  예술과 건축의 융합

1968년 저드가 구입한 뉴욕 소호의 101 스프링 스트리트 건물은 그의 예술적 이상이 건축적으로 구현된 대표적 사례입니다. 1870년대에 지어진 이 5층짜리 주조 철골 건물(cast-iron building)은 저드에 의해 단순하고 명료한 공간으로 변모했습니다. 그는 건물의 원래 구조를 존중하면서도 내부 공간을 자신의 미니멀리즘 원칙에 따라 재구성했습니다.

1968년: 건물 구입

저드는 당시 산업 지역이었던 소호에서 이 역사적인 주조 철골 건물을 구입했습니다. 당시 이 지역은 예술가들이 모여들기 시작한 초기 단계였습니다.

1969-1970년: 초기 개조

저드는 건물의 역사적 외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 공간을 완전히 재구성했습니다. 그는 불필요한 벽과 칸막이를 제거하고 각 층을 하나의 개방된 공간으로 변형했습니다.

1970-1994년: 생활과 작업의 공간

저드는 이 건물을 자신의 작업실이자 주거 공간으로 사용했습니다. 각 층은 특정 기능(작업, 생활, 전시 등)을 위해 할당되었으며, 그의 작품과 수집품이 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세심하게 배치되었습니다.

2006-2013년: 복원 작업

저드 재단은 건물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대규모 복원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드의 원래 의도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2013년: 일반 공개

복원 작업 완료 후, 101 스프링 스트리트는 저드 재단에 의해 미술관으로 일반에 공개되었습니다. 현재 이 건물은 저드의 예술과 건축 철학을 체험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101 스프링 스트리트의 가장 큰 특징은 각 층이 단일한 개방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저드는 원래의 주철 기둥과 대형 창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벽과 장식을 모두 제거했습니다. 각 층의 공간은 저드의 작품, 가구, 그리고 일상 생활 요소들이 동등한 중요성을 가지고 공존하는 통합된 환경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공간이 단순히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넘어 미학적 경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저드의 건축 철학을 보여줍니다.





예술가의 시선으로 본 공간 – 무엇이 다른가?

크리스토와 도날드 저드와 같은 예술가들이 건축적 공간을 다루는 방식은 전통적인 건축가들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보입니다. 이들은 기능성, 내구성, 경제성과 같은 건축의 전통적 가치보다는 공간의 감각적, 경험적, 개념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술가의 공간 접근법 특징

  • 경험 중심성: 건물의 기능보다 관람자의 감각적, 신체적 경험에 우선순위를 둠
  • 개념적 접근: 건축을 아이디어와 개념을 표현하는 매체로 활용
  • 물질성 강조: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감각적 효과를 중시
  • 프로세스 중시: 최종 결과물뿐만 아니라 창작 과정 자체에 의미 부여
  • 탈경계적 사고: 예술, 건축, 디자인 간의 전통적 경계 해체

이러한 접근법은 현대 건축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경험 중심 디자인, 감각적 건축, 개념 건축 등의 흐름과 맞닿아 있습니다. 예술가들의 공간 실험은 건축이 단순한 기능적 구조물이 아니라 인간의 정서와 감각, 사고에 깊이 관여하는 문화적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감각적 경험

예술가들은 시각뿐만 아니라 촉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을 통해 공간을 경험하는 방식을 중시합니다. 크리스토의 천으로 감싼 건축물은 시각적 변화와 함께 표면의 질감과 바람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촉각적, 청각적 경험을 창출합니다.

시간성

예술가들은 건축의 영구성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리스토의 일시적 설치는 건축이 반드시 영구적일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일시성이 특별한 경험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개념적 접근

예술가들은 건축을 철학적, 사회적, 정치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매체로 활용합니다. 저드의 101 스프링 스트리트는 그의 미니멀리즘 철학이 건축적으로 구현된 사례입니다.

물질성

예술가들은 재료 자체의 물리적, 시각적 특성을 중시합니다. 저드는 산업 재료의 고유한 특성을 그대로 드러내며, 이를 통해 재료의 진정성과 직접성을 강조했습니다.



크리스토와 저드의 공간 실험 비교

공간 개입 방식

크리스토는 기존 공간과 건축물을 천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일시적 변형을 추구했습니다. 외부에서 내부로의 개입이 특징입니다. 반면 저드는 공간 내부의 구조적, 재료적 변형을 통해 영구적인 공간 재구성을 시도했습니다. 내부에서 외부로의 확장이 두드러집니다.

시간성과 지속성

크리스토의 작업은 대부분 2주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하는 일시적 성격을 가졌습니다. 이러한 일시성은 오히려 작품의 가치와 경험의 강도를 높이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반면 저드는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영구적 공간을 추구했으며, 시간에 따른 자연광의 변화만이 공간 경험에 변화를 주도록 설계했습니다.

스케일과 맥락

크리스토는 대규모 공공 장소와 자연 환경에서 작업하며 도시적, 환경적 맥락과의 관계를 중요시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사회적, 정치적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공공 이벤트로 기능했습니다. 반면 저드는 주로 사적 공간과 제한된 장소에서 작업하며, 공간 자체의 내재적 특성과 관람자의 개인적 경험에 집중했습니다.

관객 참여와 경험

두 예술가 모두 관객의 적극적 참여를 중요시했지만, 그 방식은 달랐습니다. 크리스토의 작품은 일상적 환경을 낯설게 만들어 집단적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했습니다. 저드의 공간은 보다 명상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관람자가 공간의 비례, 재료, 빛의 미묘한 변화를 천천히 인식하도록 유도했습니다.





현대 건축에서 크리스토와 저드의 영향

건축 외피의 재해석

크리스토의 '래핑' 기법은 현대 건축에서 건물 외피(façade)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헤르조그 & 드 뫼롱(Herzog & de Meuron)과 같은 건축가들은 건물 표면을 단순한 보호막이 아닌 예술적 표현의 장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일시적으로 변화하는 미디어 파사드와 같은 현대적 외피 처리 기법은 크리스토의 일시적 개입 방식과 맥을 같이합니다.

미니멀리즘 건축의 발전

저드의 미니멀리즘 공간 철학은 존 파우슨(John Pawson), 타다오 안도(Tadao Ando)와 같은 건축가들의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들은 저드의 공간 명료성, 재료의 순수성, 불필요한 장식의 제거라는 원칙을 건축 언어로 발전시켰습니다. 현대 미니멀리스트 건축은 저드가 101 스프링 스트리트에서 실험한 공간 구성 원리를 다양한 규모와 프로그램에 적용합니다.

경험 중심 건축의 부상

크리스토와 저드 모두 건축을 단순한 기능적 구조물이 아닌 경험의 장으로 접근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 건축에서 '경험 건축(Experience Architecture)'이라는 흐름으로 발전했습니다.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이나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과 같은 작가들의 공간 설치는 예술과 건축의 경계에서 감각적 경험을 중시하는 접근법을 보여줍니다.

일시적 건축의 가치 인식

크리스토의 일시적 설치는 현대 건축에서 팝업 구조물, 전시 파빌리온, 임시 주거 등 일시적 건축(Temporary Architecture)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시게루 반(Shigeru Ban)의 재해 지역 임시 주택이나 다양한 비엔날레 파빌리온은 영구성을 전제로 하지 않는 건축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크리스토와 저드의 영향은 단순히 특정 스타일이나 기법의 차용을 넘어, 건축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들은 건축이 예술적 표현의 매체가 될 수 있으며, 공간 경험의 질적 측면이 기능적 효율성만큼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습니다. 오늘날 많은 건축가들이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더 풍부한 공간 경험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도 이러한 영향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대 건축 사례에서의 적용과 확장

크리스토와 도날드 저드의 공간 실험은 현대 건축 실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들의 영향은 특정 프로젝트나 건축가의 작업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토의 영향이 드러나는 현대 건축 사례

  • 프랭크 게리(Frank Gehry)의 재료 실험과 외피 처리 방식
  • 장 누벨(Jean Nouvel)의 아랍 문화 연구소와 같은 반투명 외피 사용
  • 다이지로 쿠마(Terunobu Fujimori)의 일시적 파빌리온 작업
  • 레이어드 랜드스케이프(Layered Landscape) 개념의 조경 디자인

특히 건축의 외피를 독립적인 요소로 다루는 접근법은 크리스토의 '래핑' 개념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입니다. 현대 건축에서 외피는 단순한 보호 기능을 넘어 건물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내부와 외부의 관계를 재정의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저드의 영향이 드러나는 현대 건축 사례

  • SANAA의 21세기 현대미술관과 같은 명료한 공간 구성
  • 피터 줌터(Peter Zumthor)의 재료 사용과 빛의 처리 방식
  • 데이비드 치퍼필드(David Chipperfield)의 노이에 갤러리와 같은 미술관 디자인
  • 일본 미니멀리스트 건축가들의 주택 설계 접근법

저드의 공간 이론이 가장 직접적으로 적용된 분야는 미술관과 갤러리 건축입니다. 현대 미술관의 '화이트 큐브' 전시 공간은 저드의 미니멀리즘 원칙—명료성, 직접성, 전체성—을 건축적으로 구현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또한 주거 건축에서도 저드의 영향으로 개방적이고 유연한 공간 구성이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시적 건축의 가치 재발견

서펜타인 파빌리온(Serpentine Pavilion)과 같은 임시 건축물은 크리스토의 일시적 설치 개념을 건축적으로 확장한 사례입니다. 매년 다른 건축가가 디자인하는 이 파빌리온은 건축의 실험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장이 되었습니다.

저드 재단 101 스프링 스트리트의 보존과 활용

2013년 일반에 공개된 저드의 101 스프링 스트리트 건물은 예술가의 공간 개념을 보존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모범 사례입니다. 이 건물은 단순한 박물관이 아닌 저드의 공간 철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 기능합니다.

공공 건축에서의 예술적 공간 개념 적용

BIG의 덴마크 해양 박물관이나 SANAA의 로렌츠 건물과 같은 현대 공공 건축은 크리스토와 저드의 공간 개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합니다. 이들 건물은 기능적 요구를 충족하면서도 공간 경험의 질적 측면을 중시합니다.

영향력 확대 54%

현대 건축가 및 디자이너 중 크리스토와 저드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응답한 비율(2023년 조사)

새로운 프로젝트 127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예술과 건축의 경계를 탐구하는 주요 건축 프로젝트 수

방문자 수 37M

크리스토와 저드의 작품이나 이들에게서 영감을 받은 건축물을 방문한 연간 관람객 추정치





결론 -  예술가에서 건축가로의 전환과 공간의 미래

크리스토와 도날드 저드의 혁신적인 공간 실험은 예술과 건축의 경계를 재정의하며 공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경험 방식을 확장시켰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건축이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을 넘어 인간의 감각, 인식,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공간의 재정의

크리스토와 저드는 공간을 기능적 용도를 넘어 감각적, 개념적, 경험적 차원에서 재정의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오늘날 건축이 단순한 쉘터가 아닌 인간 경험의 총체적 매체로 확장되는 데 기여했습니다.

학제 간 접근

이들의 작업은 예술, 건축, 도시 계획, 조경 등 다양한 분야의 경계를 넘나드는 학제 간 접근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오늘날 복잡한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통합적 접근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미래 공간의 가능성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재료의 발전으로 공간 디자인의 가능성은 더욱 확장되고 있습니다. 크리스토와 저드의 선구적 실험은 이러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미래의 공간 디자인은 크리스토와 저드가 보여준 경계 허물기와 실험 정신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기술적, 사회적, 환경적 맥락에 맞는 혁신적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 건축과 예술의 융합은 단순한 형태적 실험을 넘어,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마치며 – 조각가의 눈으로 건축을 보다

크리스토와 저드의 작업은 우리에게 공간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떻게 공간을 경험하는가, 그리고 공간은 어떻게 우리의 인식과 경험을 형성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이러한 질문들은 오늘날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시대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예술과 건축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크리스토와 저드처럼 공간을 감각적으로, 철학적으로 바라보는 조각가들은 때로 전통적인 건축가보다도 더 강렬하고 급진적인 공간 실험을 시도합니다.

그들의 도전은 하나의 질문을 던집니다.

“건축은 벽과 지붕을 갖추는 것인가, 아니면 공간에 대한 감각을 재구성하는 것인가?”

그렇기에, 우리는 오늘날의 건축을 이해할 때 단지 기술과 기능에만 주목할 수 없습니다. 예술가의 시선, 특히 조각가의 공간 감각은 건축을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그 감각은 오늘도 도시 곳곳에서 새로운 형태로 펼쳐지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사용된 이미지의 저작권은 Archicreator 에게 있습니다.

댓글